반응형
지도는 데이터에 공간적 맥락을 부여함으로써 BI 리포트를 풍성하게 만든다
시도 및 시군구 화면 만들기
- 필드 앞의 문자열을 의미하는 ABC 기호 클릭
- 제일 아래쪽 지리적 역할
- 시/도 또는 시군구, 필드에 맞게 선택
- 태블로는 기본적으로 우리나라 광역지자체 및 기초지자체 경계 정보를 가지고 있다
- 따라서 시도 또는 시군구의 명칭만으로 지도 화면을 만들 수 있다
- 겹치는 장소가 발생할 경우 상위 구분목록을 먼저 배치하면 된다
필드 계층구조 만들기
- 하나의 필드를 잡아서 계층을 만들 필드 위로 올리기
- 박스가 보일 때 마우스 클릭 놓기
- 계층 만들기 창에서 계층 이름 설정
- 계층을 고려한 필드 재배치
가급적 계층구조를 만들어 준 후에 지도를 만드는 것이 좋다
- 지역 필드에 지역성 부여하기
밀도 (히트맵) 기능
지도 시각화의 장점
- 눈에 잘 들어오고 직관적, 따라서 데이터에 공각적 맥락을 부여한다.
지도 시각화의 단점
- LOD (Level of Detail)에 따라 시각적으로 보이는 것이 달라진다.
- 똑같은 데이터를 VLOD를 다르게 시각화했더니, 인지되는 결과가 다르게 나타난다.
- 데이터 집계 결과를 면적을 가진 지도 위에 표현하기 때문에 왜곡 발생 가능성이 있다
반응형
'Skills > Tableau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Tableau] 07. 태블로의 주요 기능 - IF 함수 (0) | 2021.08.19 |
---|---|
[Tableau] 06. 태블로의 주요 기능 - 계산된 필드 (0) | 2021.08.19 |
[Tableau] 04. 태블로의 주요 기능 - 분석 패널 (0) | 2021.08.18 |
[Tableau] 03. 태블로의 주요 기능 - 이중축 (0) | 2021.08.11 |
[Tableau] 02. 태블로의 주요 기능 - 필터 (0) | 2021.08.1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