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ngrok
- 로컬 컴퓨터의 방화벽을 뚫어 주는 터널링 서비스이다.
- 로컬에서 서버를 실행하여 인터넷 망에서 접속할 수 있도록 해주는 툴이다.
- 설치 (Mac)
brew install --cask ngrok
설치가 완료되었으면, 아래 코드를 입력하여 잘 설치되었는지 확인한다.
ngrok http 5000
ctrl + c로 빠져나온다.
nginx
- Nginx는 웹 서버 소프트웨어로, 가벼움과 높은 성능을 목표로 한다. 웹 서버, 리버스 프록시 및 메일 프록시 기능을 가진다.(위키백과)
- 설치
우분투 서버에 접속하여 설치
ssh -i ~/Downloads/.ssh/key.pem ubuntu@퍼블릭IP
sudo apt-get update
sudo apt-get install nginx # nginx 설치
sudo systemctl status nginx # 실행확인 q로 나오기
- 서버의 80 포트 활성화
인스턴스 생성시에 80포트를 보안그룹에 추가해놓았다.
- http://퍼블릭IP:80 에 접속하면 아래 메시지가 출력된다.
/var/www/html/index.nginx-debian.html 파일의 html 코드가 출력
nginx 디렉토리 구조
- /etc/nginx
- nginx의 설정 디렉토리와 파일
- /etc/nginx/nginx.conf
- 기본 nginx 설정 파일
- /etc/nginx/sites-available/
- nginx의 설정파일들이 모여있는 디렉토리
nginx 설정
- /etc/nginx/sites-available/default 파일을 수정
- 정적인 파일 설정
server {
location / {
root /path/to/html ;
}
location /images/ {
root /path/to/image ;
}
}
- proxy 서버
server {
listen 8080;
listen 8081;
location / {
proxy_pass http://localhost:5000;
}
}
- nginx 재시작
sudo systemctl restart nginx
Flask 실행
- hello 프로젝트 파일 서버로 이동
- 서버에 flask 설치
pip install flask
- was 실행
python hello.py
후에 http://퍼블릭IP:8080 으로 접속한다.
반응형
'Skills > Flas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Flask] Jupyter Notebook에서 Falsk 사용하기 (1) | 2021.11.21 |
---|---|
[Flask] Flask 사용을 위한 환경설정 (0) | 2021.11.21 |